기후위기 극복 공감대, 지속가능 에너지원 확보
롯데 식품계열사·CJ제일제당·농심·오비 앞장
재생에너지 공급 늘려 국내외 사업장 전력 조달
“초기 투자·부지 부담 불구 수익모델 구축 기대”

▲태양광 발전 설비가 도입된 롯데칠성음료의 충주2공장 전경. 사진=롯데칠성음료
기후위기 극복 등 시대적 흐름에 부응해 국내 주요 식품사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태양광 발전 설비 등 재생에너지 설비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식품사의 재생에너지 전환 개별 움직임은 생산 효율화 및 탄소 배출량 감축 등 일석이조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전체 식품업계는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받아들이는 추세다.
식품업계에서 가장 두드러진 재생에너지 경영 움직임을 보이는 곳은 롯데그룹의 식품 계열사들이다.
롯데웰푸드는 2023년 RE100(재생에너지 사용률 100%을 목표로 삼은 글로벌 이니셔티브) 가입을 기점으로 재생에너지 도입을 본격화했다. 오는 2030년까지 전체 전력 사용량의 절반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향후 2040년까지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목표 수립과 함께 빠른 RE100 이행을 위한 준비작업에 한창이다. 이미 천안공장·횡성공장·김천공장 등 8개 생산 공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비했으며, 리모델링 과정에서 노후된 보일러 교체 등 기존 설비 효율을 높이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조달을 위해 발전사업자로부터 전력구매계약(PPA)을 맺거나,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하는 방안도 수립했다.
앞서 RE100 가입 후 롯데칠성음료도 2040년까지 음료·주류 생산공장과 물류센터 등에 사용하는 전력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충주2공장과 안성공장 2개소 등 총 3개소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했으며, 지난해 말에는 강릉물류센터와 군산공장에 각각 태양광 설비와 바이오가스 발전 설비를 구축했다.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 중인 충북 진천 소재 CJ제일제당의 식품 통합 생산기지 'CJ블로썸캠퍼스' 전경. 사진=CJ제일제당
CJ제일제당도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과 제로 웨이스트(폐기물 제로) 기반의 사업 구현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활용에 힘쏟고 있다.
회사의 전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을 오는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25% 줄이고, 전력 에너지원도 미주·유럽 사업장부터 기존 화석연료를 재생·바이오 에너지로 전환해 2050년 아시아 지역까지 넓힌다는 중장기 로드맵도 수립했다.
에너지 구조혁신의 하나로 식품사업·바이오부문·CJ피드앤케어 등 사업부문별로 국내외 사업장에 태양광 발전설비 도입도 확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8곳, 말레이시아 1곳, 베트남 5곳 총 15곳 사업장에 관련 장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가동해 지난 2023년 기준 온실가스 5265만(CO₂eq, 이산화탄소 환산량)을 줄이는 성과도 거뒀다.
오비맥주는 오는 204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RE100에 적극 동참한 케이스다.
현재 경기 이천·충북 청주·광주 3개 공장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가동 중이다. 이를 통해 연간 2800톤(t)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게 됐으며, 향후 전력수급계약(PPA)·에너지저장장치(ESS)·가상발전소(VPP) 등을 활용해 맥주 생산에 들어가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농심 역시 전력 소비 절감을 위해 태양광 발전설비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인천복합물류센터 내 해당 공장의 연간 전력량 50%인 1400㎿h(메가와트시)를 대체하기 위해 약 1115㎾(킬로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이듬해에는 충남 아산공장에도 연간 604㎿h 전력생산이 가능한 471.9㎾ 용량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추가 도입했다. 향후 농심은 사업장 내 유휴부지를 활용해 재생에너지 도입을 점차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사업은 친환경 경영을 통한 기업 이미지 개선과 함께, 에너지 비용 절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개선 등 여러 장점을 갖췄다"고 식품사들이 재생에너지 활용에 적극 나서는 배경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은 높은 초기투자 비용과 함께 대규모 부지 확보가 걸림돌로 작용하지만 투자비 회수 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모델로 굴릴 수 있는 가능성도 있어 관심을 갖는 식품사들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