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여름 보양식 성수기…신제품·마케팅 힘주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05 11:00

CJ제일제당·하림, 홈 보양족 겨냥 HMR 삼계탕 출시
한촌설렁탕, 가맹점 온·오프라인 홍보비 전액 부담

지난 3일 CJ제일제당이 출시한 '비비고 들깨누룽지 삼계탕'. 사진=CJ제일제당

▲지난 3일 CJ제일제당이 출시한 '비비고 들깨누룽지 삼계탕'. 사진=CJ제일제당

보양식 성수기인 여름을 맞아 식품·외식업계에서 수요 잡기 채비에 한창이다.




홈 보양족을 노려 가정간편식(HMR) 형태의 삼계탕 등 신제품을 내놓거나, 매출 확대를 위해 가맹점주 지원까지 나선 외식업체도 눈에 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일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들깨누룽지 삼계탕'을 출시했다. 닭 한 마리 속을 누룽지로 채우고 들깨가루까지 넣은 제품으로, 촉촉한 식감과 육즙이 장점이다. 특히, 제조 과정에서 열처리 조건을 개선해 간편식 삼계탕의 단점인 '뼈 부스러짐' 현상을 줄였다고 회사는 소개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다. 1개 당 가격이 1만2980원으로 외식 삼계탕 평균 가격 대비 20% 저렴하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해당 제품은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이마트 트레이더스 등 오프라인 채널과 함께 CJ제일제당 자사몰인 CJ더마켓에서 구매 가능하다.


지난 6월 30일 하림이 출시한 더미식 삼계탕 2종. 사진=하림

▲지난 6월 30일 하림이 출시한 더미식 삼계탕 2종. 사진=하림

최근 하림도 간편식 브랜드 '더미식'을 통해 삼계탕 2종(삼계탕·닭다리 삼계탕)을 새롭게 선보였다. 각 900g, 600g의 용량으로 제품 모두 국내산 닭을 사용했다. 상온 파우치 형태의 제품으로 보관·휴대도 간편하다.




제품별로 삼계탕은 45호 크기의 얼리지 않은 닭 한 마리를 통째로 사용했다. 생강·양파·마늘 등을 넣어 4시간 이상 고아낸 육수에 국내산 수삼·밤·잣·은행·찹쌀 등을 더했다. 통닭다리만 사용한 닭다리 삼계탕은 삼계탕과 같은 방식으로 고아낸 국물에 찹쌀을 넣었다.


사진=한촌설렁탕

▲7월 중순까지 한촌설렁탕이 전개하는 유튜브 PPL 콘텐츠 중 하나인 유튜버 '히밥' 협업 관련 사진. 사진=한촌설렁탕

매출 쏠림이 예상되는 여름 시즌 동안 점주들의 마케팅 홍보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선제 지원에 나선 외식업체도 있다.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중순까지 한촌설렁탕은 유투버 조재원을 시작으로 히밥·신기루·180초·네루짱·이상한 과자가게 등 인기 유튜버들과 손잡고 보양식 PPL(제품 간접 광고) 콘텐츠를 공개한다. 여기에 전국 150여개 매장에서 사용하는 대형 현수막·배너·테이블 스티커·포스터 등 각종 오프라인 홍보물도 본사 전액 부담으로 지급한다.


그동안 한촌설렁탕은 매장 운영의 효율성·개별 매장의 실질 매출 향상에 중점을 두고 마케팅을 지원해왔다. 다만, 지난해 유튜브 PPL을 활용한 첫 디지털 캠페인에서 두드러진 매출 상승 효과를 확인해 올해 마케팅의 범위와 규모를 더 확장한 것이다. 지난해 한촌설렁탕의 여름 시즌 매장 평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전체 매출은 17.8% 올랐다.


여기에 올해는 보양 메뉴에 대한 식자재 할인 혜택 등 가맹점 이익을 보장하는 지원 체계도 마련했다. 예컨대 지난달 30일부터 진행 중인 할인 행사 기간 동안 '누룽지반계탕'에 사용되는 식자재 비용을 박스 당 일정 금액 수준 할인해주고 있다.


한촌설렁탕 관계자는 “올해는 마케팅 예산을 전년 대비 약 5배 수준으로 대폭 확대했다"면서 “온라인·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홍보 활동과 함께 식자재 비용 일부를 지원함으로써, 본사와 가맹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상생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