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만료 ‘사실상 연장’…세계 각국 막판 협상 총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07 14:22

트럼프 “7일부터 서한 발송…소식 알려 기쁘다”

美 재무 등 “관세는 8월 1일 발효”…상호관세 유예 사실상 연장 평가

EU·태국 등 합의 타결 분주…일본·인도는 강경

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 종료를 앞두고 압박 강도를 높이는 가운데 주요 교역국들이 미국과 무역 협상에서 막찬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사실상 연장하자 각국이 협상 시한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7월 7일 월요일 오후 12시(미 동부시간 기준, 한국시간 8일 오전 1시)부터 미국의 관세 서한을 발송하고 여러 국가들과 맺은 무역합의를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적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저지주에서 워싱턴DC의 백악관으로 돌아오기 위해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공항에서 취재진에게 9일까지 서한을 발송하겠다며 “우리는 7월 9일까지 대부분의 국가(와의 협상)를 마무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서한 혹은 합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의 참모진은 상호관세 유예 기간 연장을 시사하며 추가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것"이라며 “대통령은 지금 당장 관세율과 합의를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이날 CNN 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8월 1일에 다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우리는 향후 72시간 동안 매우 바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미 온라인매체 악시오스는 “사실상 8월 1일이 협상의 새로운 마감시한"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베선트 장관은 8월 1일이 협상의 “새 마감일은 아니다"라면서 “이것(관세 부과)이 시작되는 일정이어서 (협상) 속도를 낼지, 기존 관세율로 돌아갈지는 여러분의 선택"이라고 했다. 그는 또 협상 타결이 임박한 국가가 있냐는 질문에 “우리는 몇 개의 합의에 근접했다"면서도 구체적인 국가명은 공개하지 않았다.


USA-TRUMP/TARIFFS-EU-NEGOTIATION

▲(사진=로이터/연합)

트럼프 행정부는 모든 교역국에 대한 10% 기본 보편관세에 이어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는 추가로 차등 적용하는 상호관세를 지난 4월 2일 발표했다. 다만 이때 중국과의 갈등이 빠르게 격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4월 9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게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유예기간 각국과 무역협상을 진행해왔지만 지금까지 합의와 도출한 나라는 영국과 베트남이다. 중국과도 합의가 있었으나 그것은 서로에 대한 수출통제 등에서 불거진 갈등을 봉합하는 내용이어서 포괄적인 무역합의라고 보긴 어렵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국의 최대 교역 상대인 유렵연합(EU)이 유예시한을 앞두고 치열하게 움직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와 협상 속도가 더디다는 이유로 모든 유럽산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가 오는 9일까지 이를 유예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는 현재 부과되고 있는 10% 보편관세를 유지한 채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 완화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합의를 타결하고 있다. 다만 품목별 관세에 대한 협상은 쉽지 않은 만큼 빠른 시일 내 타결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EU는 두 단계로 나뉜 프레임워크(틀)에 우선 협상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먼저 비관세 장벽을 해결한 뒤 9일 이후에 관세 협상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아시아 국가들도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USA-TRUMP/TARIFFS-THAILAND

▲피차이 춘하바지라 태국 재무장관(사진=로이터/연합)

태국의 경우 미국이 예고한 36%의 상호관세를 피하기 위해 전날 미국에 최종 제안서를 제출했다. 피차이 춘하바지라 태국 재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미국 측이 제안서를 수용할 경우 태국은 대부분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즉각 해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제안서를 통해 460억달러인 대미 무역흑자를 5년 내로 70% 줄이고 7~8년 후 균형을 맞추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업 등 분야에서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고 미국산 에너지 및 보잉 항공기 구매 확대를 논의하고 있다.


그러면서 10%의 보편관세 부과가 최상의 결과라며 10~20%의 관세도 수용할 수 있다고 했다.


미국으로부터 49%라는 고율의 관세율을 부과받은 캄보디아 정부는 “미국과 상호 무역에 대한 기본 틀 합의에 도달했으며 합의문을 곧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야 역시 미국과 핵심 광물, 에너지, 국방 협력 등을 아우르는 무역 합의 타결이 임박했다고 최근 밝혔다.


기념 촬영하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국무역대표부(USTR)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기념 촬영하고 있다.

한국 정부 역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이재명 정부의 외교·안보를 총괄하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잇달아 워싱턴DC로 급파해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막판 합의 도출을 위한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반면 그동안 미국과 적극적으로 협상을 이어온 일본과 인도에선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인도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상대로 하는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은 미국이 설정한 협상 마감일에 맞추기 위해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역시 쉽게 양보하진 않겠다는 입장이다.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최근 두차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전화 통화로 관세 문제를 협의했다. 이와 관련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후지TV 인터뷰에서 “일본은 모든 관세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며 “단호히 맞서 이익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의 무역 정책에 반발하고 있는 비(非)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에 대한 경고를 날렸다. 브릭스는 러시아, 중국,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신흥국들의 경제협력을 목적으로 설립해 운용 중인 연대체다.


그는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들은 10%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이 정책에는 예외가 없다"고 했다. 다만 각국의 어떤 정책들이 반미에 해당되는지, 혹은 이에 대한 관세가 언제 부과되는지 등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 브릭스 국가들이 양자 무역에 달러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