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김성환 환경부장관 후보자, 탈원전 입장 묻자 “최근에는 주장한 적 없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15 14:53

“지금도 탈원전 찬성 질의에 그때는 후쿠시마 사고 직후”
원전 안전성 높이고, 재생E 간헐성 줄여야 탈탄소 가능
NDC 달성 위해 기후에너지부서 정책 수립 및 실행해야
기후대응댐 필요성 재검토해 꼭 필요한 곳만 추진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아직까지 탈원전에 대한 생각을 유지하고 있는지 의심받았다.




그는 이같은 의심에 최근에는 탈원전을 주장한 적 없다면 (입장을) 모호하지 않게 하겠다고 밝혔다.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 환경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은 “후보자는 '거북이 탈원전' 정책의 대표적 추진자이자 재생에너지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며 “탈원전 기조를 가진 후보자가 환경부 장관이 되면 에너지 정책에 과도하게 매몰돼 환경부 본연의 자연·환경에 대한 균형적 역할 수행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크다"고 질의했다.



이에 김 후보자는 “탈원전이 대세라고 말한 때는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졌을 때다. 그때는 전 세계가 깜짝 놀랐다"며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세계적 추세가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가되 원전 안전성을 담보로 원전도 적극 활용한다는 정책으로 변화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 후보자는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줄이면서 탈탄소 사회로 매우 빠르게 전환해야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다"며 “최근에 탈원전을 주장한 적은 없다. (정책 운영을) 모호하지 않게 잘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서 기후에너지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실제로 실현가능한 목표를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그동안은 환경부가 감축목표를 가지고 대부분의 이행수단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가지고 있다"며 “기후에너지부에서는 에너지를 어떻게 새롭게 할지가 주요할 것이다. 정책을 수립하는 부분과 실행하는 부분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기후대응댐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재검토하겠다고 알렸다. 환경부는 윤석열 정부 때인 지난 3월 13일 기후대응댐 14곳 중 9곳을 확정했다.


그는 “(댐 신설과 관련해) 주민 반발은 없는지 등을 정밀하게 재검토해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신규 댐에는) 다목적댐으로 설계 중인 것도 있고, 평소에는 수문을 열어두고 폭우가 왔을 때 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용도로 설계하는 댐도 있다"면서 “전체적으로 필요성을 정밀하게 재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환경부가 붙인 '기후대응댐'이라는 명칭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기후대응댐이라는 표현이 맞지 않는 거 같다'라는 박 의원 지적에 “너무 뭉뚱그려서 표현한 거 같다"고 호응했다.


여야는 인사청문회에서 이재명 대통령 아들 결혼식 관련 질의로 언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은 김 후보자를 상대로 “얼마 전 결혼한 이 대통령의 아들을 아는가, 결혼식에 참석했는가, 모바일 청첩장에 계좌번호가 공개됐는데 축의금은 냈는가" 등을 물었다.


김 후보자는 “모바일 청첩장은 받지 못했다"며 “결혼식엔 참석했지만 축의금도 내지 않았고 식사도 안 했다"고 답했다.


이에 김태선 민주당 의원은 “난데없이 대통령 아들 결혼식 얘기가 이 자리에서 왜 나오는지 유감"이라며 “인사청문회에서 대통령 아들이라는 이유로 지나치게 사생활까지 얘기하는 것은 큰 무리"라고 반발했다.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