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스타필드마켓’ vs 롯데마트 ‘그랑그로서리’…신모델 맞대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31 18:20

‘쇼핑·여가 결합’ vs ‘식료품 특화’ 전략 대결

‘고객 체류 연장’ 목표…차세대 매장모델 승부

31일 정식 개장한 이마트의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 내 시그니처 특화존 '북 그라운드' 모습. 사진=이마트

▲31일 정식 개장한 이마트의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 내 시그니처 특화존 '북 그라운드' 모습. 사진=이마트

국내 대형마트 양대산맥 이마트와 롯데마트가 고객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오프라인 점포를 경쟁적으로 출점하고 있다.




고객 경험을 키워드로 쇼핑·여가 기능을 합친 특화 점포를 앞세우거나, 식료품 판매 비중을 대폭 높인 차별화된 점포를 내놓는 추세다.


3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최근 경기권 위주로 차세대 매장 모델인 '스타필드 마켓'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해 8월 처음 선보인 1호점 죽전점을 시작으로 지난달 킨텍스점(2호점)을 리뉴얼 개장했으며, 이날 기존 경기 화성 동탄점을 18년 만에 새 단장해 스타필드 마켓으로 정식 개장했다.



스타필드 마켓은 문화·휴식까지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쇼핑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마트는 지역 상권·고객 특성 등을 고려해 리뉴얼 전략을 짜는데, 동탄점의 경우 30대~40대 젊은 가족단위 고객이 많은 점을 반영해 매장을 구성했다.


기존에 3개 층으로 분산돼 있던 이마트 매장을 1층으로 압축하되 2~3층은 특화존·인기 브랜드로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전 점포 중 유일하게 펫 프렌들리 공간으로 조성한 것도 눈길을 끈다. 반려동물(예방접종 완료된 5㎏ 미만, 이동장 이용)에 한해 마켓 공용부·2층 북그라운드에 동반 출입이 가능하다.




이마트가 기존 점포 대상으로 스타필드 마켓 전환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이전 점포들의 흥행 성과가 뒷받침하고 있다. 죽전점만 봐도 개장 당월인 지난해 8월부터 올 6월까지 매출이 리뉴얼 이전 대비 39% 가량 늘었다. 2호점도 운영 한 달(6월 26일~7월 25일)간 매출이 리뉴얼 이전 같은기간 대비 39% 늘었다.


체험형 매장을 선보인다는 맥락에서 이마트는 스타필드 마켓 외에도 식료품 특화 점포 '푸드마켓'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말 1호점인 대구 수성점에 이어 올 4월부터는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 내 2호점을 운영 중이다. 테넌트를 제외한 매장의 95%를 식료품으로 채울 만큼 상품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다.


경기 구리시 소재 롯데마트 '그랑그로서리 구리점' 매장 전경. 사진=롯데마트

▲경기 구리시 소재 롯데마트 '그랑그로서리 구리점' 매장 전경. 사진=롯데마트

한 발 앞서 롯데마트는 2023년 말부터 식료품 특화 점포 '그랑그로서리'를 운영하고 있다. 당시 롯데마트 은평점을 리뉴얼해 1호점을 선보였으며, 지난해 11월에는 기존 롯데 프리미엄푸드마켓 도곡점을 그랑그로서리 점포로 탈바꿈시켰다.


지난달 26일에는 경기 구리시에 '그랑그로서리 구리점'을 공개했는데, 이는 2021년 구리점 영업 종료 후 4년 만에 재출점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이 베일을 벗은 같은 날 구리점 개점이 이뤄진 탓에, 두 업체 간 견제가 심화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평가도 뒤따른다. 구리점은 롯데마트의 그랑그로서리 3호점 겸 경기권 첫 점포다.


식료품 특화 점포답게 구리점은 매장 면적의 90%를 식료품으로 구성해 전문성을 높였다. 여기에 각종 체험형 콘텐츠까지 더해 개장 한 달(6월 26일~7월 25일) 간 방문객만 30만명에 이른다.


젊은 가족단위 중심의 해당 지역상권 특성을 고려해 구리점은 식사 준비가 용이한 500여 종의 냉동 간편식은 물론, 각종 해외 단독 직소싱 상품, 식단 관리 제품 등을 선보인다. 시민 중심 공간을 표방하며 2층 내 문화센터·체험형 매장 '토이저러스' 등 즐길거리도 배치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그랑그로서리 출점 시 인근 유사 채널과의 거리 외에도 상권 내 고객층의 소비 성향, 구매 목적, 접근성 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며 “그랑그로서리가 제공 가능한 차별화된 콘텐츠와 쇼핑 경험이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