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심리 ‘관망 모드’…코스피 급락 후 거래대금·빚투 모두 위축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11 14:33

유동성 얇아진 증시, 예상 못한 변수에 민감…공매도 비중 상승세 지속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감 등으로 코스피가 급락한 지난 1일 이후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1주 전에 견줘 20% 가까이 줄었다. 세제 개편안 수정 여부, 한미 상호관세 타결 여진, 미국 물가 우려 등을 주시하며 투자자 관망세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동성이 얇아진 가운데 공매도 잔액은 늘어나면서 개별 종목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국내 증시 거래대금 추이

▲국내 증시 거래대금 추이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8일 유가증권(코스피)·코스닥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5조8811억원으로 1주 전(7월28일~8월1일) 일평균 19조3571억원에 견줘 19.6% 감소했다.


지난주 거래대금 감소는 정부의 세제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얼어붙은 투자 심리가 아직 회복하지 못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당시 정부는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고, 최고 35%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등의 내용이 담긴 세제 개편안을 공개했다.


지난달 31일 3245.44로 거래를 마쳤던 코스피는 장 마감 후 발표된 세제 개편안의 영향으로 1일 3.88% 빠진 3147.75까지 물러났다. 낙폭을 일부 회복하며 지난 8일 코스피는 3210.01로 마감했다.




지난주 거래대금은 차츰 늘었지만, 6월 26일 이후 한 달여 만에 최고치를 찍었던 지난달 31일 21조5232억원에는 못 미쳤다.


빚투도 감소하는 추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증시의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7일 기준 21조5750억원으로 지난달 말 22조원 대비 소폭 줄었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기 위해 증권사에서 빌린 돈 가운데 상환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


김종민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거래대금이 감소했으나 증시 예탁금은 견조하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시장을 완전히 떠나기보단 기회를 엿보면서 관망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유동성이 얇아진 만큼 예상하지 못한 호재나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일일이 대응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향후 주가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는 늘어나고 있다. 타인에게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뒤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매수해 갚는 공매도 순보유 잔액은 지난 6일 기준 10조760억원이다.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다. 시장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전체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비중이 늘어날 경우 개별 종목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상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시장 상승 탄력이 둔화세로 접어들면 유동성이 약해지며 거래대금이 감소한다"면서 “공매도 거래금액이 전체 거래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면 공매도 경계감이 증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코스피 상승 추세가 둔화와 전체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비중 상승 추세가 지속된다면 개별 종목 측면에서 변동성이 커질 확률이 높다"면서 “공매도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들에 한해 경계심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태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