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2Q] 60개사 중 탑10, 총 순이익 80% 독차지…양극화 고착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20 10:42

상반기 순이익 80% 이상, 상위 10개사에 집중

발행어음·IMA 허용된 초대형 IB, 수익 다변화

자기자본이 큰 증권사가 갈수록 더 많은 이익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증권업의 대형화를 추구하는 기조가 유지되면서 자기자본 규모에 따라 기업금융(IB) 역할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상위 10개사가 이익 80% 차지…2015년 이후 격차 확대 추세

올해 상반기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 재무현황

▲올해 상반기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 재무현황

20일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의 순이익을 합하면 4조248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에 재무현황을 공개하는 전체 증권사 60개사 순이익 합계(5조2602억원) 중 80.77%에 해당한다. 자기자본 상위 10개사의 영업이익 비중도 80.59%로 비슷하다.


자기자본 상위 5개사로 좁혀봐도 전체 증권사 이익 합계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자기자본 상위 5개사의 순이익 합계는 2조5312억원으로 전체의 48.12%에 해당한다. 자기자본 상위 5개사의 영업이익 비중은 50.98%에 달한다.



자기자본 상위 10개사는 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메리츠증권·KB증권·하나증권·신한투자증권·키움증권·대신증권 순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대형사와 중소형사 모두 영업환경이 개선되고 대손 부담이 줄면서 실적이 좋아졌다. 금리 하락 기조와 국내 증시 상승에 따른 신용융자 잔액 증가, IB 및 운용 부문 외형 성장 등으로 수익 창출력이 개선됐다.




2023년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이 반영되면서 대형사와 중소형사 모두 간헐적으로 분기 적자를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실적이 부진했다.


지난해에는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실적 양극화가 커졌다. 대형사는 부동산 PF 대손 부담이 완화하고 수익 기반을 회복하면서 실적이 개선됐지만 중소형사는 여전히 높은 대손 부담과 낮은 수익창출력으로 일부 증권사 중심으로 적자가 계속됐다.


증권사 영업이익 비중 추이

▲증권사 영업이익 비중 추이

기간을 넓혀보면, 자기자본이 큰 증권사가 이익을 더 많이 가져가는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2015년 자기자본 상위 5개 증권사는 영업이익과 순이익 비중이 전체 증권사의 37.26%와 36.19%였다. 이후 10여 년간 등락은 있지만, 추세적으로 자기자본 상위 5개사의 이익이 전체 증권사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 증권사 대형화 유도…발행어음·IMA 인가 경쟁 본격화

증권업에서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실적 격차가 커지는 이유로 영업 기반과 자본력 격차가 꼽힌다. 한국기업평가는 “대형사는 리테일 부문의 견고한 영업기반과 풍부한 자본력에 기반한 레버리지 효과로 영업순수익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며 “중소형사 그룹은 일회성 수익을 배제할 경우 전 분기 대비 실적 개선이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증권사의 기업금융 역할 확대가 자본력과 업무 영역 측면에서 유리한 대형사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2013년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제도를 도입한 뒤 증권사 대형화를 유도했다. 2017년에는 대형 종투사가 기업금융을 위한 자금을 저비용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발행어음과 종합투자계좌(IMA)를 허용했다.


자기자본 규모에 따라 종투사의 허용 업무가 다르다. 자기자본 3조원이 넘는 종투사는 기업신용공여, 전담중개 등을 할 수 있다. 자기자본 4조원이 넘는 종투사는 발행어음 사업을 할 수 있다. 자기자본 8조원이 넘는 종투사는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을 할 수 있다.


발행어음은 초대형 투자은행(IB)으로 지정된 증권사가 자기 신용을 바탕으로 자기자본의 2배 한도에서 1년 이내 만기로 발행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다. 증권사는 대출이나 회사채 발행보다 자금을 간편하게 조달할 수 있고 이자 수익 등 신규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재 발행어음업을 영위하는 종투사는 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KB증권 4곳이다. 2021년 5월 미래에셋증권이 발행어음 사업을 위해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은 것이 마지막이다. 아직 IMA 사업을 영위하는 증권사는 없다.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발행어음과 IMA 규제 체계를 강화한다면서 올해 하반기 발행어음과 IMA 사업 인가를 내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내년부터 발행어음 인가를 받으려면 자기자본 요건을 연말 결산 기준 2년 연속 충족해야 한다. 그밖에 사업계획 타당성, 대주주의 제재 이력, 내부통제 시스템 등 요건을 신설했다.


이에 자기자본 4조원이 넘는 증권사는 모두 발행어음 사업 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삼성증권·메리츠증권·하나증권·신한투자증권·키움증권 등 5곳이다.


종투사 지정 현황

▲종투사 지정 현황/출처=금융위원회

IMA 사업도 자기자본 9조원이 넘는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일찌감치 신청했다. NH투자증권은 IMA 사업에 뛰어들기 위해 65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진행해 자기자본 규모를 맞췄다. NH투자증권은 3분기 내 IMA 인가 신청을 낼 예정이다.



최태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