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7년만에 부분파업, 한국지엠 교섭난항 단체행동
현대重, 마스가 이행 현대미포 합병 반발 잠정합의 부결
포스코·현대제철 철강 비정규직 원청과 교섭 요구 ‘전운’

▲현대차 노조원들이 지난 6월 임단협 출정식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산업계 주요 기업들이 노조의 '줄파업'에 속을 태우고 있다.
수년간 코로나19 팬데믹, 미-중 무역갈등 같은 어려운 시기를 '상생 모드'로 견뎌왔는데 최근 들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발 '관세 전쟁' 등 수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이라 경제계에 긴장감이 감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노조는 이날부터 5일까지 사흘간 부분 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오전·오후 출근조가 3일과 4일 2시간씩, 5일에는 4시간 파업할 예정이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7년 만이다. 노사가 지난 6월18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20차례 교섭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게 원인이다. 노조는 올해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작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 최장 64세로 연장, 주 4.5일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노조의 요구 대부분을 들어주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HD현대중공업 노조 역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난항으로 파업을 시작한 상태다. 올해 들어 6차례 부분 파업을 벌였고 3일 오후부터 5일까지도 추가 파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번에는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등 계열사 조선 3사 노조가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공동 파업을 벌인다.
HD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 7월 임단협 잠정합의안까지 도출했으나 조합원 총회에서 부결됐다. 노조는 특히 사측이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 합병을 발표한 것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노조의 쟁의행위 범위를 구조조정 및 사업 통폐합 등으로 확대한 '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이 단체행동 빌미를 제공한 셈이다.
한국지엠 상황은 더 심각하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 본사가 한국 시장 철수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 처지에 노조가 파업을 지속하고 있다. 임금을 올리고 성과급은 1인당 수천만원씩 달라는 게 조합원들의 요구다. 이밖에 직영 정비센터와 부평공장 유휴부지를 매각한다는 사측 결정을 철회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노사 상생 모델'을 기대했던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서는 올해 들어서에만 9차례 파업이 펼쳐졌다. 임단협이 평행선을 달리는데 회사의 은행 대출금 조기상환 과정에서도 노사간 마찰이 일어났다.
철강 업계에도 전운이 감돈다. 현대제철비정규직지회는 원청인 현대제철과 직접 교섭을 요구하며 집단행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까지 고소하는 등 세력을 과시하고 있다. '사용자 범위'를 원청을 넘어 그룹사 전반까지 확대 해석하고 있는 셈이다.
포스코 노조는 임금 7.7% 인상을 요구하며 사측과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노조가 회사 제시안을 거부하면서 창사 57년만에 처음 파업이 벌어질 위기에 놓였다.
전국건설노조 수원 남부지부 역시 노란봉투법을 등에 없고 과격한 행동에 나섰다. SK에코플랜트가 건설 중인 경기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민노총 소속 직원을 고용하라고 생떼를 부리고 있다. 이미 SK그룹 본사인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 앞에서 시위를 열겠다고 집회신고까지 마친 상태다.
산업계는 아직 수출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염려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 후폭풍과 품목별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은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이 인도, 러시아 등과 밀착하며 새로운 무역 질서를 만들려 한다는 점도 우리 기업들 입장에서는 신경 써야 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