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 기후경영대상 심사평] 조용성 교수 “기후변화 대응·저탄소·ESG실천 노력에 감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11 08:12
1

▲조용성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전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대한민국 기후경영대상은 에너지경제신문이 주최하고 외교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다. 신기후체제를 비즈니스의 기회로 삼고, ESG 실천 및 기후경영 실천 전략을 통해 탁월한 경영성과를 거둔 기업 기관을 선정하고자 마련된 상이다.




올해는 총 8개 기업 및 기관에서 응모했다. 심사결과 외교부장관상에는 한국산업은행, 환경부장관상에는 (주)이브자리와 (재)인천테크노파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에는 포스코인터네셔날과 (주)파인네스트를 선정했다.


외교부장관상에 선정된 한국산업은행은 기후금융 은행으로 정부의 탄소중립, 녹색성장 정책 지원을 위해 녹색금융 추진 체제 기반의 녹색금융 확대 및 고도화를 실천하고 있으며, 녹색금융의 연대 및 협력강화, 녹색금융 노하우 전파 등 녹색금융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원화 녹색채권의 최초・최다 발행을 비롯해 성장 단계별 기후테크 벤처기업 육성 등 녹색 생태계 활성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외에 국내 최초 녹색기후기구(GCF) 인증기구로서 해외 기후변화사업 선도 및 적도원칙협회 아태 지역 대표 활동으로 녹색 금융 위상을 제고하고 있다.



환경부장관상에 선정된 (주)이브자리는 ESG 경영을 비롯해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24년까지 품질경영 ISO9001 인증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능률협회에서 주관하는 그린스타 인증을 18년째 유지하고 있다. 1986년부터 양평군 수곡리에 6만평 규모의 기업림을 조성해 생태계 복원 및 숲 조성 사업을 통해 탄소저감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다.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침구류의 유해 세균 및 곰팡이,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폴리진 기술을 스웨덴에서 도입했으며, 집먼지 진드기 투과를 방지하기 위한 친환경 물질 기술을 R&D를 통해 개발했다.


(재)인천테크노파크는 인천지역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경영지원, 시험인증, 마케팅 등 지역혁신 사업을 연계 조정하며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전담기관이다. 인천시 출자기관으로서는 최초로 ESG 경영전략을 수립했으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전 분야에 걸쳐 성과를 공개하고 있다. 특히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ESG 리스크 대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9개사의 녹색 기구산업 지원과 공공 주도형 재생에너지 인프라 지원의 성과가 뚜렷했다. 이외에 녹색기후산업 사업화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녹색분야(친환경, 대기, 페기물, 수질, 탄소저감, 환경, 재난, 재해대응)의 기술경쟁 확보를 위해 기술 고도화 및 사업의 글로벌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은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주)파인네스트를 선정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우리나라 최초 민간발전사 및 LNG 터미널 운영사로 에너지사업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2025년 3월 광양 구역전기 집단에너지사업 허가를 취득해 광양국가산업단지 내 친환경 전기 및 열 공급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분산형 에너지공급모델 정착으로 송배전투자 최소화 및 지역에너지 자립도 제고, 산단 입주기업에 대한 안정적인 에너지공급 등 기후경영 가치 실현에 앞장서는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절감 기여, 공정의 저탄소 생산 체제 전환, 산업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 분산에너지 활성화 정책 등 ESG를 통한 기후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파인네스트는 솔잎을 이용해 혈당강화제품, '더 파인 프리미엄'을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오래 전부터 ESG 경영을 실천해오고 있다. 제품의 원료 조달부터 유통까지 복잡한 제품 공급망에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공급망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어, 선제적으로 기후리스크 강화를 위한 ESG 경영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일회용기 사용 줄이기, 탄소중립 경영실천, 생산공정에서의 폐기물 재활용 유도, 에너지절감을 통한 탄소배출 줄이기 등을 실천하고 있다.


아울러 2024년에는 제품의 해외수출 및 국가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으며, 자연물인 솔잎이 산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저장, 제조, 유통 등에 있어서 최적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경영전략을 강구하고 있다.


올해도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다수의 공모 신청으로 기술력과 성과의 우열을 변별하는데 큰 고심이 있었다. 기후경영대상 응모에 참여해주신 많은 기업과 기관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