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추석 상차림비, 4년 만에 20만원대로 하락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14 12:50

한국물가정보 조사…35개 품목 가격 조사
과일·채소류 가격은↓, 축·수산물 가격은↑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 사과가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 사과가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

전통시장에서 구매하는 추석 차례상 차림 비용이 4년 만에 30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추석(10월 6일)을 약 3주 앞둔 지난 12일 전통시장에서 조사한 4인 가족 기준 차례상 비용은 29만99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3500원) 적은 수준이다.


한국물가정보는 추석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태풍 발생 여부·가을장마 등의 변수가 남아 있으나, 올해 농산물 작황이 좋아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물가정보는 매년 추석 3주 전에 전통시장에서 35개 품목 가격을 조사해 추석 차례상 장보기 비용을 공개한다.


상차림 비용이 20만원대로 돌아온 것은 2021년 이후 처음이다. 연도별로 2021년 27만4500원이던 차례상 장보기 비용은 이듬해 30만원, 2023년 30만9000원, 지난해 30만2500원을 기록했다.




소비 비중이 가장 큰 과일 가격 하락과 함께, 공급량 회복으로 채소류 가격이 내린 영향이 컸다.


품목별 가격을 보면 사과(3개)와 배 가격은 지난해 1만5천원에서 올해 1만원으로 33.3%씩 감소했다. 시금치(1단)는 8000원→6000원으로 25.0%, 무(1개)도 4000→2500원으로 37.5%씩 내렸고, 배추(1포기) 가격도 1만원에서 9000원으로 10.0% 떨어졌다.


반면 일부 품목은 올랐다. 햅쌀(2㎏)은 5500원에서 7000원으로 27.3% 상승했다. 송편(1㎏)과 시루떡(3장)은 각각 1만원에서 1만2000원으로 20.0%, 조기(3마리)는 1만2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25.0%씩 올랐다. 7000원이던 돼지고기 육전용 앞다릿살(600g)도 8000원으로 14.3% 상승했다.


한편, 올해 대형마트의 추석 차례상 비용은 39만1350원으로, 지난해 대비 0.7%(2810원) 줄었다. 다만, 각 대형마트에서 제공하는 할인 적용시 28만~32만원 수준으로 저렴해졌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