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에너지 0, 탄소 0” 농사 실증…제주 감귤, RE100 농업으로 진화
“햇빛이 감귤을 익히고, 전기도 만든다”, 올 12월 첫 재배 가능
농가수익 + 탄소감축, ‘두 마리 토끼’...전국 지자체 벤치마킹
“이 비닐하우스는 단순한 감귤 하우스가 아닙니다. 일반전기를 쓰지 않고도 감귤을 키우는, 전국 최초의 '탄소중립형 농업 실증 현장'이에요."
제주의 가을 햇살 아래 반짝이는 감귤 비닐하우스 위로, 태양광 필름이 부드럽게 빛을 반사한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RE100 감귤생산 실증 현장에서 만난 양철준 미래농업육성과 스마트기술팀장은 손짓하며 말했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에 있는 RE100 감귤생산 실증 현장. 사진=전지성 기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에 있는 RE100 감귤생산 실증 현장. 사진=전지성 기자
제주 감귤, RE100 농업으로 진화...“햇빛이 감귤을 익히고, 전기도 만든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이 주관하고 제주테크노파크가 협업 중인 '태양광·ESS 연계 RE100 감귤 생산모델 실증 사업'은 농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선도 프로젝트다.
비닐하우스 지붕 위에 태양광 발전 패널(20~24kW급)을 설치하고,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생산된 전기로 하우스의 각종 시설들을 움직이게 한다. 또한 생산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한 뒤 히트펌프(30~35kW급)를 가동해 냉·난방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시스템이 완전히 가동되면, 감귤 재배 전 과정에서 외부 전력 사용이 '제로(0)'가 된다. 말 그대로 100%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감귤농사가 실현되는 것이다.
기술원 강정 시험포의 하우스 내부는 조용했지만, 눈앞의 모니터에서는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표시되고 있었다.
▲양철준 팀장이 RE100 감귤농장 실증센터 스마트온실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전지성 기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RE100 감귤생산 실증 현장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기와 ESS장치. 사진=전지성 기자
양 팀장은 “태양광 발전과 ESS, 히트펌프가 유기적으로 연동돼 자동으로 전력 공급을 조절한다"며 “겨울에는 난방, 여름에는 냉방으로 전환되어 감귤의 생육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우스 위쪽에는 필름름형(24kW)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인근에는 판넬형(20kW) 일체형 태양광도 실증 중이다.
“이 필름형 태양광으로 낮에는 생상되는 에너지로, 밤이나 흐린 날에는 저장한 에너지로 감귤 농사에 필요한 전력을 충당할 수 있습니다. 제주가 기술 실증의 전초기지가 되고 있어요."
▲양철준 미래농업육성과 스마트기술팀장이 탄소중립 감귤재배 실증센터 비닐하우스 지붕에 설치된 필름형 태양광 패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전지성 기자
▲RE100 감귤농장 실증센터. 비닐하우스 지붕에 필름형 태양광발전기가 설치 되어있다. 사진=전지성 기자
▲RE100으로 재배 중인 감귤이 익어가고 있다. 사진=전지성 기자
감귤밭에서 탄소중립 실천, 12월 첫 수확 앞둬...농업의 '전환점'
올해 12월 하순, 실증 하우스에서 첫 RE100 감귤 수확이 예정되어 있다. 양 팀장은 “이번 겨울 감귤이 '에너지 0, 탄소 0'의 첫 결실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실증이 완료되면 제주 내 주요 감귤 농가에 이 시스템을 확대 보급하고, 이후에는 잉여 전력을 판매도 할 수있는 발전형 농가 모델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
이미 육지 지자체 관계자들이 잇따라 현장을 찾아 벤치마킹 중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농업 분야 RE100 실현의 첫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농업기술원은 실증 결과를 토대로 'RE100 감귤 생산 매뉴얼'을 2025년 12월까지 개발, 내년 초 선포식을 열 계획이다.
이어 2026~2027년에는 표준 설계 확립 및 안전구조 진단을 통해 본격적인 보급 단계에 들어간다.
양 팀장은 “제주는 감귤로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첫 섬이 될 것"이라며 “농가의 수익성은 물론, 국가의 2035 탄소중립 목표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가수익 + 탄소감축, '두 마리 토끼'...“감귤밭에서 시작된 탄소중립 혁명"
제주도는 이번 실증이 성공하면, 농가가 직접 발전한 잉여 전력을 판매해 발전사업자 수준의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농업용 난방유나 전력 사용을 대체함으로써, 연간 수천 톤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기대된다.
감귤밭 위로 저녁 햇살이 기울자, 하우스 지붕의 필름형 태양광이 오렌지빛으로 물들었다.
그 아래에서는 ESS의 잔열이 감귤나무를 부드럽게 덥히고 있었다.
이곳에서 본 것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농업이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생태계'였다.
제주는 지금, 감귤로 탄소중립의 미래를 실험하고 있다.
“이제 농업도 RE100으로 간다"는 양철준 팀장의 말이, 석양 속에 오래 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