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수상작 30개 중 14개 한국기업…삼성·LG전자 5개
삼성SDI·LG엔솔·LG이노텍, 중기·스타트업 다수 혁신상
삼성전자·두산로보틱스는 최고혁신상·혁신상 동시수상
▲CTA가 홈페이지를 통해 5일(현지시각) 발표한 CES 최고혁신상 목록.
우리나라 대표기업들이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현지 기준 1월 6~9일)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6' 무대를 빛낼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 분위기를 미리 점쳐볼 수 있는 '혁신상'을 한국기업들이 대거 수상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최고혁신상의 경우 30개 중 절반에 해당하는 14개를 우리 기업이 차지해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CES 주최측인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5일(현지시각) 1차 발표를 통해 최고혁신상 30개, 혁신상 308개를 우선 공개했다.
혁신상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제품·기술을 선정한 것이다. CEO 참관객 및 언론의 주목을 많이 받게 된다는 점에서 수상 기업들에게는 영예로 인식된다. 본행사의 '미리보기' 성격도 지닌다.
1차 발표에서 최고혁신상을 받은 기업 30개를 국가별로 분류하면 △한국 14개 △미국 5개 △중국 3개 △대만 2개 △유럽 2개 △홍콩 1개 △캐나다 1개 △싱가포르 1개 △일본 1개 등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선전이 돋보였다. 삼성전자는 최고혁신상 3개를 포함해 총 27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분야별로는 영상디스플레이 12개, 생활가전 4개, 모바일 3개, 반도체 7개, 하만 1개 등이다.
영상디스플레이 부문에서 2026년형 TV 등을 앞세워 최고혁신상 2개를 배출했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양자보안 칩 'S3SSE2A'이 사이버보안 분야 최고혁신상을 받았다. 이 칩은 임베디드 기술 분야에서도 혁신상을 중복 수상했다. 이밖에 '갤럭시 XR', '갤럭시 Z 폴드7', '갤럭시 워치8' 등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CES 2026 최고혁신상 수상 규모와 국적
▲자료=CES 2026 공식 홈페이지
LG전자는 최고혁신상 2개를 포함해 총 18개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를 포함한 올레드 TV와 모니터가 주인공이었다. LG전자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webOS'의 경우 2년 연속으로 사이버보안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삼성·LG그룹 계열사들의 도약도 눈길을 잡았다.
삼성SDI는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 기술로 최고혁신상을 꿰찼다. 삼성SDI의 '25U-Power'는 출력을 2배 향상시켜 기존 배터리 무게의 절반으로 동일한 출력을 내는 초고출력 18650 원통형 배터리다. 주로 전동공구에 탑재돼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이 제품은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혁신상을 받았다.
LG에너지솔루션이 만든 배터리 수명 향상 기술 'Better.Re(배터.리) 설루션'은 모빌리티 부문 혁신상을 가져갔다. 회사가 자체 개발한 배터리 수명 예측 알고리즘과 12억km에 달하는 실제 주행 데이터, 다양한 운전 운행 정보 등을 토대로 개발된 기술이다. LG이노텍이 새롭게 개발한 차량용 '초슬림 픽셀 라이팅'도 혁신상을 수상했다.

최근 3년 삼성·LG전자의 CES 최고혁신상 수상 내용
▲자료=삼성전자, LG전자
두산로보틱스의 인공지능(AI) 로봇 설루션 '스캔앤고(Scan & Go)'는 AI 부문 최고혁신상과 로봇공학 부문 혁신상을 휩쓸었다. 스캔앤고는 로봇팔과 자율이동로봇(AMR)이 결합한 플랫폼에 물리 정보 기반 AI와 첨단 3D 비전을 적용해 다양한 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크로스허브, 스튜디오랩, 둠둠주식회사, 엘비에스테크, 망고슬래브, Nation A, Deep Fusion AI, CT5 등이 최고혁신상을 받는 등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들도 낭보를 전해왔다.
코스맥스, 리빌더AI, 고스트패스, 씨아이티, 데이터플레어, 투핸즈인터랙티브, 샤픈고트, 비젼테크, 허브플렛폼, 파워쿨, 뷰런테크놀로지, 모스, 아이아이에스티, 뉴작, 고려오트론, 터빈크루 등은 혁신상을 거머쥐었다.
최고혁신상을 받은 30개 제품 중 다른 부문에서 혁신상을 동시에 수상한 경우는 삼성전자, 두산로보틱스와 싱가포르의 모비릴티 회사 Strutt 뿐이다.
수상 목록은 행사가 열리는 내년 1월까지 지속 업데이트된다. 현장에 부스를 꾸리지 않는 기업들도 혁신상 후보로는 신청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