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세미나] 조용신 처장 "저탄소 공기업 지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7.03.31 01:44
[집단에너지 세미나] 조용신 처장 "저탄소 공기업 지향"

집단에너지 사업이 위기다. 대다수 사업자가 경영난에 허덕인다. 현행 열요금으로는 수익을 내기 어렵고, 전기요금은 원가에 한참 못 미친다. 게다가 열 수요는 해마다 줄고 있다. 건물의 단열효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집단에너지가 에너지 이용효율 제고,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오염 저감, 분산전원 편익 등 정책적 지원은 불가피하지만 해법은 요원하다.

정부도 이런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헌데 뾰족한 대책이 나오지 않는다. 경쟁 에너지원과의 형평성이 걸림돌이다. 현재 집단에너지에서 열을 공급받고 있는 세대는 약 274만 가구로 전체의 15% 정도다. 집단에너지를 도입한 다른 국가와 비교해 20% 이상 낮다.

유럽연합의 대다수 국가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정책적 지원을 확대하며 집단에너지 비중을 늘려 왔고, 또 늘리고 있다. 집단에너지가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감축-환경오염 저감에 도움이 크기 때문이다. 본지는 그래서 ‘신기후체제의 성공을 위한 집단에너지사업의 역할 세미나’를 마련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현실에 맞는 지원책을 톺아보는 자리가 됐다. -편집자주


조용신 한난 성장동력처장 
한난 저탄소 친환경 에너지 공기업이 비전

조용신 한난 성장동력처장

▲조용신 한난 성장동력처장


[에너지경제신문 안희민기자] 한난(한국지역난방공사)은 집단에너지사업법 29조에 근거해 1985년 설립됐다. 2016년 12월 현재 전국 18개 사업장 141만호에 에너지를 공급 중이다. 올해 12월 757MW에 이르는 동탄지사와 광주전남지사의 SRF발전소를 종합적으로 준공할 계획이다. 2016년 말 기준 난방 1172만3000Gcal, 냉방 59만4000Gcal, 전력 763만5000MWh를 판매했다.

한난은 신기후체제 출범과 국내 온실가스 규제 본격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을 추진했다. 전사적인 TF팀을 구성해 2009년 4월 수립한 1차 계획을 보완해 2015년 12월 2차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저탄소 친환경 에너지 공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비전이다. 정책 대응, 온실가스 감축, 내부기반 구축, R&D 확대, 교육홍보 활동을 진행한다. 특히 기후환경 분야 대응에 체계성을 더하기 위해 2009년 12월 자발적인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2015년 11월 온실가스 상쇄 배출권 확보 등을 수행했다.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열과 전기 원단위를 30%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신재생 에너지 확대, 배출권 매매전략 수립, CDM 및 국내상쇄사업 적극 추진 등을 진행한다. 이밖에 온실가스 배출 및 관리를 위한 ‘온실가스 IT관리시스템(기후환경 통합시스템)’ 구축과 ‘탄소자산관리 중장기 로드맵’ 구축을 통한 체계적 온실가스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열배관 보온재 생산업체 등 협력회사와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을 통한 배출권 확보 사업을 통해 연간 106 이산화탄소 환산톤(tCO₂)를 감축했으며 착한탄소 프로젝트에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탄소배출권 7만5734톤을 기부했고 2014년 인천아시아게임에 1500톤을 기부했다.

한난은 신규 집단에너지 사업도 확대하고 있지만 난관에 봉착해 있다. 택지 개발이 없고 단위 열사용량이 30% 감소돼 여유용량이 발생했다. 중소 규모 연계 사업, 고시외수요개발, 민간 포기 사업, 참여자 없는 사업에 대해 적극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대응 중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지역냉난방+신재생 융합형 신산업 사업과 모델 개발이 대표적인 예다. 기후변화 대응 연구개발도 강화하고 있으며 본연의 설립 목적에 충실하게 집단에너지 산업 발전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안희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