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외국인투자 5년 연속 200억달러 달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1.06 15:20

사상 최대 2018년 이어 역대 2위
"200억달러 유치기조 안착"


'2019년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 브리핑하는 정대진 투자정책관

▲정대진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관이 6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기준 233억불로 역대 2위 실적을 기록, 5년 연속 200억불 이상 달성과 관련한 ‘2019년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을 출입기자단에 브리핑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2018년보다는 감소했지만, 5년 연속 200억달러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 기준 233억달러로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도착 기준으로는 128억달러로 역대 4위다. 2018년 269억달러(신고 기준)에 비해서는 13.3% 감소했다. 도착 기준 투자액은 26.0% 줄었다. 2018년은 2019년 이후 예정된 외국인투자기업 법인세 감면 혜택 폐지를 앞두고 조기 신고가 많이 이뤄졌고 초대형 프로젝트가 성사되면서 이례적으로 높은 실적을 냈다.

◇ 최근 10년 외국인직접투자 실적 (단위 억달러)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5년평균 10년평균
신고 130.7 136.7 162.9 145.5 190.0 209.1 213.0 229.5 269.0 233.3 230.8 192.0
도착 54.5 66.6 107.2 98.9 123.4 165.9 108.0 137.5 172.6 127.8 142.4 116.2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는 상반기에는 다소 부진했으나 하반기 들어 개선되는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였다. 신고 기준 분기별 증감률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분기는 35.7%, 2분기는 38.1% 급감했다가 3분기는 4.7%로 반등했고 4분기에는 27.9% 상승했다. 상반기에는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투자수요 감소 등 대외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법인세 감면 혜택이 사라지면서 한국 투자에 대한 외국 투자가의 관망세가 있었지만, 하반기 들어 증액된 현금 지원을 유인으로 활용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투자 유치에 나서면서 상승세로 바뀌었다.

특히 자금조달·기업결합심사 등의 문제로 다소 지연되던 인수합병(M&A) 메가 딜이 연속적으로 성사되며 4분기에는 역대 4분기 실적 중 최대 실적인 98억4000만달러가 신고됐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는 양극재, 고기능성 플라스틱·폴리머, 전력용 반도체에서 공급 안정화와 국산화에 기여하는 우수 프로젝트가 성사됐다. 기술개발·연구 분야에서는 글로벌 반도체장비 기업의 연구개발(R&D) 센터를 국내에 유치했고, R&D·전문·과학기술 분야 투자도 전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K-뷰티·푸드·컬쳐 등 고급 소비재와 콜드체인·공유경제·생활서비스 등 정보기술(IT) 플랫폼에서도 기술력과 혁신성을 가진 국내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한 활발한 M&A가 이뤄졌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신고액이 68억4000만달러로 전년보다 16.4% 늘어난 반면, 도착액은 13억5000만달러로 64.6% 감소했다. 반대로 유럽연합(EU)은 신고액이 71억3000만달러로 20.1% 줄고 도착액은 69억9000만달러로 27.7% 늘었다. 일본의 경우 신고액은 9.9% 늘어난 14억3000만달러, 도착액은 0.6% 감소한 10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은 신고액(9억8000만달러)과 도착액(1억9000만달러) 모두 64.2%, 76.2% 줄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2015년 이후 5년 연속해 외국기업들이 매년 2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온 만큼 이제 외국인직접투자 200억달러 유치 기조가 안착하는 단계에 진입했다"고 평가하면서 "올해 외국인직접투자는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이 모두 있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민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