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이후 제2금융권 PF시장 대량 진입
금리인상·원자재가격 상승 등 악재 커져
건산연, “세부담 등 규제완화 이뤄져야”
![]() |
▲회사채 CG.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금융시장 우려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사태를 막기 위한 과감한 규제완화 등 선제 대응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정주 연구위원은 24일 발간한 건설동향브리핑을 통해 "최근 이어진 부동산 경기 호조로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PF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이후 부동산 경기가 개선되면서 2013년 말 35조2000억원이었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올해 6월말 기준 112조2000억원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보험사 등 제2금융권이 대체 투자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을 위해 가파르게 증가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제2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이 2013년 말 대비 크게 증가했다. 보험사는 약 5조7000억원에서 43조3000억원으로 7.6배, 여신전문회사는 2조7000억원에서 26조7000억원으로 9.8배, 저축은행은 2조원에서 10조7000억원으로 5.3배 늘었다.
이런 가운데 올해부터 미국발 금리 인상 가속화, 원자재 가격 상승, 분양시장 냉각 등으로 개발사업이 급속히 악화되며 부동산 PF 대출 부실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김정주 연구위원은 "이전 정부에서 추진해 온 과도한 부동산 규제가 부동산 PF대출 부실 위험을 높이고 있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다"며 "과도한 세부담과 금리인상으로 부동산 가격 급락 가능성이 커진 만큼 신속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