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택 스마트스터디벤처스 상무 인터뷰
"대형 게임사가 도전 통해 업계 방향성 제시해 줘야"
![]() |
▲박형택 스마트스터디벤처스 상무. |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P2E(돈 버는 게임·Play and Earn)는 전통적인 의미의 게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게임 산업에 투자하는 심사역으로서도, 게임을 연구하는 학자로서도 마찬가지에요."
박형택 스마트스터디벤처스 상무는 최근 에너지경제신문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게임업계를 비롯해 정치권에까지 화두에 오른 P2E에 대해 "게임이라 하기 어렵다"고 단언 하면서도 "콘텐츠의 한 유형으로 국내 도입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P2E 목적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Earn’"
박 상무는 벤처캐피탈(VC)업계 게임·콘텐츠 부문 투자 심사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투자 전문가다. 한때 게임 개발사를 창업해 현업에서 뛰기도 했고, 이후 대학원에서 석·박사(수료)로 게임학도 전공했다. 현재는 광운대학교 스마트융합대학원 게임학과 겸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박 상무는 "게임의 본질은 ‘재미’인데, P2E의 목적은 설계 단계부터 ‘Earn’(얻다)에 있다"며 "시작부터 일반적인 게임과 다르다"고 말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코인 논란이 확산하면서 게임 내 재화를 코인·대체불가능토큰(NFT) 등 가상자산으로 바꿀 수 있는 P2E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P2E 모델을 가진 게임의 서비스를 허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국내 상당수 게임사는 P2E 서비스를 해외에서만 공급한다.
박 상무는 투자적 관점에서 P2E 시장도 회의적으로 봤다. 그는 "게임은 그 생태계 내에서 재화의 활용 가치를 제시해 줘야 하는데 P2E는 코인 시장에서의 가치 외에 실질적인 사용 가치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심지어 코인 시장 불황으로 교환가치도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P2E, 메타버스가 아니라도 원천 기술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는 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투자 섹터에서 게임 산업으로 보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며 "수익성 개선이 중요한데 이 분야 투자는 한동안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P2E 국내 도입에 대해선 "도입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그는 "기존 게임과는 다른 형태의 새로운 콘텐츠 유형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실적에 따라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중소개발사보다는 대형 게임사들이 도전을 지속해 업계 방향성을 제시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게임 투자 60~70%↓…차별성 갖춰야"
박 상무에 따르면 최근 게임·콘텐츠 섹터의 투자 시장은 극심한 냉각기다. 올해 1분기 게임 섹터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전년 대비 60~70% 줄었다. 박 상무는 "글로벌 경기 불황으로 국내외 투자 시장 역시 얼어붙었다"며 "중견기업 투자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컸고, 한동안 더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상무는 투자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재미 △기술력 △비즈니스모델(BM)을 꼽았다. 그는 "셋 중 두 개 이상에서 차별화 포인트를 제시한다면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대부분 개발사가 콘텐츠에 대한 차별화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개발 단계에서부터 BM에 대해 고민해 온 곳은 분명 차이가 느껴진다"고 말했다.
박 상무는 "이런 시기일수록 중소개발사의 기반을 튼튼히 해주는 것이 필수"라며 "올해 문화·콘텐츠 쪽 정부 예산이 많이 줄었는데, 특히 인디게임 등 저예산 게임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졌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sojin@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