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hc·교촌·BBQ 등 상용화 분주, 시간·인건비 절감 기대
푸드테크와 협업 활발…투자비, 가맹점·고객 반응 관건
푸드테크 시대에 발맞춰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주방 자동화'를 골자로 조리로봇 상용화에 도전하고 있다.
최적화된 모델 개발과 함께 현장 시범운영에 나서는 등 구체화하는 단계지만, 실제 도입에 따른 비용 부담 등 애로사항으로 당장에 보급화는 어려운 분위기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다이닝브랜드그룹이 전개하는 bhc치킨은 일부 점포 대상으로 '튀봇' 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튀봇은 bhc치킨과 LG전자가 협업해 개발한 튀김 요리용 로봇이다. 반죽된 재료를 기계에 올리면 로봇이 쟁반을 움직여 조리하는 방식이다.
튀봇은 2023년 하반기부터 bhc치킨의 잠실R&D(연구개발) 센터에서 1년 동안의 시험운영을 거친 뒤, 지난해 하반기 현장 유통을도입을 본격화했다. 튀봇을 운영하는 매장 수만 지난해 7월 6곳에서 올 1월 24곳까지 4배 늘었다.
당초 지난해 말까지 설치 예고했던 목표치 30곳에 미치지 못하지만, 실제 이용 중인 가맹점주들의 만족도가 높아 도입 매장 확대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회사는 예상하고 있다.
bhc치킨 관계자는 “가맹점주 대상으로 자체 조사한 결과 튀봇 도입으로 기름 털기 등 단순 작업 작업이 줄면서 주문 피크타임 대응이 수월해졌다는 평가가 많았다"면서 “즉시 열기 배출 시스템 덕분에 냉방비가 줄어든 점 등에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고 설명했다.
교촌에프앤비가 운영 중인 교촌치킨도 로봇 제조사와 손잡고 최적화된 조리로봇 모델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2021년 10월 뉴로메카와 협동조리로봇인 '프라잉 템플릿'을 공동 개발하고, 지난해 7월에는 추가 개발한 신규 모델 공급까지 확정했다. 이를 통해 현재 서울·수도권 등 19개 매장에서 협동 조리로봇을 운영하고 있다.
협동조리로봇은 튀김기에 반죽한 닭을 투입하면 1차 튀김부터 튀김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조각성형 작업, 2차 튀김 등의 과정을 담당한다. 설치 시 내부 동선 등 매장별 맞춤형으로 움직임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데다, 원격 접속 기능도 갖춰 가맹점주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현재 가맹점주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꾸준히 애프터서비스(AS)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도 진행해 만족도를 제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BBQ도 튀김 조리가 가능한 올인원(All-In-One) 자동화 솔루션 '보글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자동화 장비 개발 업체인 네온테크와 관련 업무 협약을 맺고, 자체 교육기관인 치킨대학 내 데모룸에서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는 단계다.
올인원 로봇을 표방한 만큼 보글봇은 튀김 조리부터 기름 공급·배출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아직 모델 개발 단계인 만큼 향후 시험대가 될 테스트 베드 매장은 결정되지 않았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주방 자동화를 통해 단기적으로 조리 시간 단축은 물론, 장기적으로 인건비 절감에 따른 비용 관리 효과도 볼 수 있다"면서 “다만, 설치 등 초기 투자와 함께 유지 비용 부담도 적지 않고, 고장 시 빠른 대처도 어려워서 도입을 망설이는 점주들도 많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