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日·호주 효과’로 美관세 리스크 줄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10 16:30

상반기 美 11% 증가 선전…하반기 위축 현실화 우려
日서 캐스퍼 EV 1~8월 판매 작년실적 돌파 성장 가속
호주 누적 100만대 달성 인기차종·전기차 투트렉 주력

현대차그룹 사옥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 그룹이 관세발(發) 미국시장 위축 환경 속에서도 시장 다변화 전략축의 하나인 호주와 일본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면서 향후 해외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완성차 업계는 현대차그룹이 미국시장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장다변화 강화를 위한 현지 맞춤형 전략, 친환경 전동화 가속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전환, 도심항공교통(UAM) 등 차세대 모빌리티 사업 확장 등에 초점을 둘 것으로 내다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올해 1~8월 미국 시장서 현대차 60만7346대, 기아 57만641대로 총 117만8000대의 누적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 실적이다.



좋은 흐름에도 리스크는 여전하다. 한미 정부간 협의로 자동차 관세가 15%로 낮춰졌지만 언제 시행될지 미지수인데다, 이달 30일 미국의 전기차 구매시 7500달러 세액공제 혜택이 사라지면서 전기차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행히 최근 '미국 이외 시장'에서 좋은 소식이 들리고 있다. 매년 부진을 면치 못하던 일본시장에서 오랜만에 반등을 달성했고, 장악력을 늘려가던 호주시장에선 기아가 누적 판매 100만대를 돌입했다.




일본 시장, 온라인 판매·친환경 모델로 재도약

부산모빌리티쇼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사진=이찬우 기자

▲부산모빌리티쇼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사진=이찬우 기자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올해 1~8월 누적 판매 648대를 기록하며 작년 연간 판매량(618대)을 이미 넘어섰다. 성장을 견인한 모델은 캐스퍼 EV의 일본 수출명인 인스터로, 오는 10일 출시되는 인스터 크로스가 추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현대차는 2022년 일본 재진출 당시 아이오닉 5와 넥쏘 등 무공해차 중심 라인업과 딜러 없는 온라인 판매 모델을 앞세웠다. 이 전략은 일본 특유의 디지털 친화적 소비 성향과 맞아떨어졌다. 같은 해 아이오닉 5는 아시아 브랜드 최초로 '일본 올해의 차' 수상 리스트에 오르며 브랜드 위상을 끌어올렸다.


또 일본 고객 특성에 맞춘 실시간 화상 상담 서비스, 오사카·센다이·후쿠오카에 이어 수도권으로 확장되는 체험형 쇼룸, 전국 18곳의 '드라이빙 스폿' 운영 등 오프라인 접점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아울러 일본 프로야구 지바 롯데 마린즈 구단에 EV 불펜카를 제공하고, '현대모터클럽 재팬'을 출범시키는 등 문화·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친밀도 제고에도 나서고 있다.


호주 시장, 37년 만에 100만대 돌파

기아 더 뉴 스포티지. 사진=이찬우 기자

▲기아 더 뉴 스포티지. 사진=이찬우 기자

기아는 호주 진출 37년 만에 누적 판매 100만대를 돌파했다. 지난 3일 퀸즈랜드 모토라마 딜러사에서 열린 기념식에서는 100만번째 차량인 타스만 듀얼 캡 픽업트럭이 고객에게 전달됐다.


호주 시장에서 기아의 성장은 '베스트셀러' 모델들의 활약 덕분이다. 쎄라토(20만780대), 스포티지(18만8159대), 카니발(12만3854대)가 누적 판매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EV3·EV5 등 전동화 모델과 첫 픽업트럭 타스만 출시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데미안 메레디스 기아호주 CEO는 “고객의 신뢰가 100만대 성과의 원동력"이라며 딜러 네트워크와 소비자 충성도를 성장 요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기아의 호주 시장 점유율은 2006년 2.2%에서 올해 7월 기준 6.9%까지 3배 이상 확대됐다.


글로벌 성장의 넥스트 스텝

포티투닷이 CES 2024에서 SDV의 방향성과 내재화 중인 실증 기술을 공개했다. 사진=포티투닷 제공

▲포티투닷이 CES 2024에서 SDV의 방향성과 내재화 중인 실증 기술을 공개했다. 사진=포티투닷 제공

현대차그룹의 다음 행보는 이미 성과를 입증한 '현지 맞춤 전략'을 한층 정교하게 다듬는 동시에, SDV와 UAM 같은 미래 사업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데 맞춰질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이 일본과 호주에서 거둔 성과는 '현지 맞춤 전략'의 힘을 잘 보여준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과제가 뒤따라야 한다.


일본에서 안착한 온라인 판매와 실시간 상담 서비스처럼 시장별 특성을 반영한 혁신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고, 전기차·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와 충전 인프라 협력, 지역 맞춤형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통해 전동화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현대모터클럽 재팬과 같은 팬덤 커뮤니티와 디지털 경험을 글로벌 차원으로 확산해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IRA·유럽 보조금 정책, 중국 배터리 의존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와 현지 생산 확대에도 나서야 한다.


여기에 더해, 단순한 하드웨어 판매에 머무르지 않고 OTA(무선 업데이트), 커넥티드 서비스, 구독형 소프트웨어 등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DV) 전환을 가속화해 '서비스로서의 자동차(Car-as-a-Service)' 모델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본과 호주처럼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가 많은 시장에서는 SDV 전략이 브랜드 차별화의 핵심 포인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수소 모빌리티 같은 미래 사업으로 외연을 넓히는 전략도 요구된다.


최근 글로벌 시장은 정부 차원의 친환경 정책과 인프라 투자가 활발하기 때문에, 기존 자동차 사업과 연결한다면 현대차그룹의 성장 스토리는 한층 더 확장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찬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