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면세점 체질개선 로드맵] ④ 호텔신라 ‘애물단지’ 된 신라免…허리띠 조일 땐 조이고, 풀 땐 풀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17 19:30

면세 매출 기여도 83%…적자 지속 ‘실질 수익 0’
영업이익률 회복 ‘긍정적’, 인천공항 임차료 발목
희망퇴직·교환사채 발행 등 재무건전성 확보 집중
유커 맞이 투자 총력, 골드 패스 선물에 MD 개편도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점 제2여객터미널 주류 매장 전경. 사진=신라면세점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점 제2여객터미널 주류 매장 전경. 사진=신라면세점

호텔신라의 천덕꾸러기 신세가 된 신라면세점이 실적 반등의 발판을 만들면서 존재감 되찾기에 나섰다. 인천국제공항과의 임대료 문제 등 여전히 경영 환경은 가시밭길이지만, 조직 효율화·운영 자금 확보·공격적인 마케팅까지 가용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17일 호텔신라 IR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매출은 1조99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늘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84% 줄어든 62억원에 그쳤다. 호텔신라 사업은 면세점(TR) 부문과 호텔&레저부문 두 가지 축으로 이뤄졌는데, 면세사업의 높은 매출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수익을 낳지 못해 전사 발목을 잡는 형국이다.


가장 최근치인 올 2분기 실적만 봐도 면세점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1% 오른 8502억이다. 이는 총매출의 83%에 육박한다. 같은 기간 면세점 사업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하면서, 이익기여도 관점에서 2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호텔&레저 부문이 수익성을 떠받치고 있는 구조다.



면세점 부문의 수익성이 급속도로 악화된 것은 지난해가 정점을 찍었다. 분기별로 기복은 있었지만 면세부문의 연간 영업이익은 코로나19 종료 후 엔데믹 전환이 시작된 2022년 86억원, 이듬해 224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697억원에 이르는 대규모 영업손실이 발생하며 연간 실적도 적자 전환했다.


올 들어 수익성 개선 구간에 진입한 것은 그나마 위안이 된다. 여전히 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나, 지난해 4분기 -5.7%였던 면세사업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올 1분기 -0.6%, 2분기 -1.3%로 회복됐다.




수익성 개선세를 굳히기 위한 관건은 임차료 조정이다. 신세계면세점과 마찬가지로 신라면세점도 인천공항 입점에 따른 임대료 공식에 갇힌 상황이다. 특히, 올해 인천공항점을 포함한 국내외 공항점 매출은 1분기(18.7%), 2분기(6.4%) 연속 상승세를 그려온 터다.


최근에는 법원에서 신라면세점에 부과하는 임대료를 25% 인하하도록 강제조정결정이 내려왔다. 다만, 인천공항 측이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신라면세점 역시 선택의 기로에 선 상황이다.


신라면세점 서울점 전경. 사진=신라면세점

▲신라면세점 서울점 전경. 사진=신라면세점

인천공항과의 협의점을 찾는 데 난항을 빚는 가운데, 수익 제고에 대한 고민에 빠진 신라면세점도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 4월에는 국내 주요 면세사업자 4사 중 가장 늦게 희망퇴직 카드마저 꺼내들었다.


지난해 하반기 호텔신라는 모회사 차원에서 창사 이래 최초로 1328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까지 발행했다. 여기에 신규 면세 부문장으로 재무통인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앉히는 등 재무건전성 확보에 공들여 왔다.


이 가운데 허리띠를 조일 땐 조이고, 풀 때 푸는 면모도 보인다. 당장에 이달 말부터 한시적 시행하는 '유커(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에 대응에 분주하다. 특히, 중국 현지 여행사들과 손잡고 마이스(MICE)·인센티브 단체를 집중 공략한다. 골드 패스를 선물하고, 중국인 선호 브랜드 위주로 기획 상품을 개편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펼친다.


K-POP 팬미팅 등의 대형 단체고객 유치에도 적극적이다. 이를 위해 일일투어나 소규모 개별 관광객(FIT)성 단체 여행 행태를 반영한 연계 상품도 개발 중이다. 올해에만 세 차례 중화권 위주로 인기몰이 중인 유명인사들을 홍보 모델로 발탁하며 팬덤 효과까지 노리는 분위기다.


신라면세점 관계자는 “면세점 메인 고객이었던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다시 한국을 방문하게 되면 면세점 입점 고객 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매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