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1일 개최 최대 부대행사···전세계 1700명 참석 통상·AI 의제 논의
오픈AI·엔비디아·애플·구글·소프트뱅크·삼성전자·SK 스타리더 ‘경주로~’
소버린AI·반도체·모빌리티·디지털화폐 등 주제 강연 세션만 20개 풍성
국내 대기업 총수 사업행보 기대…李대통령·BTS 멤버 RM 연설도 주목
▲'APEC CEO 서밋 2025'에 참석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쩡 위췬 CATL 회장(왼쪽부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드존슨 CEO, 쩡 위췬 CATL 회장 등.
오는 28~31일 경주 예술의전당 일원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CEO 서밋 2025'에 참석하는 글로벌 재계 인사들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팀 쿡 애플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등도 참석이 유력하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국내 재계 총수들도 총출동해 국제통상·인공지능(AI) 등 경제 의제들을 논의할 전망이다.
27일 재계와 대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이번 APEC CEO 서밋 전반은 의장을 맡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이 총괄해 지휘한다. 최 회장은 지난해 11월 페루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폐막식에서 의장 인수봉을 전달받은 뒤 올해 행사의 성공 개최를 위해 힘을 써왔다.
전세계 이목이 경주로 쏠리는 이유는 이번 행사에 '거물'들이 대거 집결하기 때문이다. APEC 21개 회원국 가운데 정상급 인사 16명과 글로벌 기업 리더 1700여명이 모일 예정이다.
다니엘 핀토 JP모건 부회장, 도쿠나가 도시아키 히타치 CEO,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마티아스 코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등도 참석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중 젠슨 황 CEO, 맷 가먼 CEO를 비롯해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안토니 쿡·울리히 호만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등은 직접 연사로 나서 미래 테크 기술 개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다.
▲26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작업자들이 'APEC CEO 서밋 2025' 행사 안내판을 설치하고 있다.
APEC CEO는 크게 20개 세션으로 진행된다. 28일 환영만찬을 시작으로 29일 △글로벌 경제 이슈 및 직면 과제 △지경학적 환경 속 역내 협력 전략 △디지털 전환 및 전자상거래 효율화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한 금융·투자 전략 △데이터센터 투자 인센티브 및 규제 개선 △디지털 헬스케어 국제협력 △APEC 내 비즈니스 연결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된다.
30일에는 각국 정상 연설이 예정돼 있다. 이와 함께 △소버린 AI 전략 △아태 디지털 시장 성장 △AI 반도체 메가 인프라 프로젝트 △친환경 공급망 구축 △미래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생태계 △디지털 화폐와 국제 금융시장 전망 등이 다뤄진다.
31일에는 △데이터센터 수요관리 및 친환경 에너지 전환 △지속가능 성장과 재해관리 기술 △탄소중립과 지구 생존 전략 등을 두고 다함께 미래를 구상한다.
행사를 주관한 대한상의 측은 올해 글로벌 정상과 CEO 간 '직접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참가 기업들은 APEC 정상·장관 등과 1대1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투자·협력 기회를 구체적으로 발굴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역량을 결집했다. APEC CEO 서밋 기간 중에는 공식행사 외에도 한국의 소프트 파워를 세계에 알리는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AI, 방산, 조선, 디지털자산, 에너지, 유통 등 핵심 산업을 다루는 퓨처테크 포럼을 통해 대한민국의 산업 경쟁력을 세계 시장에 선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개막식에 특별 연사로 참여한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리더 RM도 29일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K팝 가수가 APEC CEO 서밋 연사로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RM은 문화 세션에 참석해 'APEC 지역의 문화창조산업과 K-컬처의 소프트파워'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전세계에 K팝의 영향력과 'K-컬처'의 위상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계 총수들은 다양한 인사들과 인맥을 쌓고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은 경주로 향해 사업 기회를 모색할 전망이다.
가장 먼저 움직인 것은 정기선 HD현대 회장이다. 정 회장은 27일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에서 열린 '퓨처 테크 포럼: 조선'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미국의 새로운 해양 비전과 정책, 특히 미 해군을 필두로 하는 차세대 함대 건조와 조선소 재건 등 해양 지배력과 번영을 위한 새로운 움직임에 적극 참여하고자 한다"고 발언했다.
일각에서는 젠슨 황 CEO가 15년만에 한국을 찾는만큼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과 보다 심도 깊은 논의 자리를 마련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공식 일정은 일단 31일 APEC CEO 서밋 세션에 참가한 뒤 국내외 주요 언론들이 모이는 별도 미디어 행사에 참석하는 것만 잡혀있다. 국내에 있는 반도체 공장을 직접 둘러보거나 주요 총수들과 별도 만찬을 가지는 등 운신의 폭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